공부환경 이야기
Talk Talk 칼럼 책상위치만 바꿔도 아이 성적이 달라진다
타고난 재능보다 성실한 노력이 값지다.
머리로만 얻는 것은 한 때의 칭찬뿐이다.
- 정민, <책 읽는 소리> 中 에서 -
아마 위의 글을 읽고,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고개를 끄덕이실 것입니다. ‘공부는 엉덩이로 한다.’라는 말은
어렸을 때부터 부모님께 많이 들었던 말입니다.
정말 공부의 결과는 엉덩이를 붙이고 있는 시간과 상관이 있을까요?
답은 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는 것입니다.
엉덩이를 붙이고 앉아있는 만큼의 효과를 얻으려면 한 가지를 절대 기억해야만 합니다.
그것은 바로 ‘메타인지 (meta cognition)'입니다.
위의 그림은 자동차 경주 게임을 하는 장면입니다.
그런데 이 화면만 보면서 자동차 경주 게임을 한다면 잘 달릴 수 있을까요?
위의 그림은 어떤가요?
같은 화면에 전체 맵이 추가되면서
내가 어디쯤 와있고 앞으로 어떤 굴곡이 나타날지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처음 경주를 해보는 코스라면 전체 맵의 유무는 결과에 큰 영향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메타인지는 바로 이 전체 맵과 같은 것입니다.
내가 어디쯤 있는지 아는 것, 그것이 메타인지입니다.
메타인지라는 용어 자체의 뜻은 ‘아는 것에 대해 아는 것’입니다.
시험을 친 날, “몇 점 받을 것 같니?”라는 엄마의 질문에
첫째 아이 는 “쉽던데? 백점 받을 것 같아.”라고 답을 했고
둘째 아이는 “70점쯤 받을 것 같아.”라고 답했습니다.
시험결과는 둘 다 70점이었습니다.
이 경우 첫째와 둘째 중 누구의 메타인지가 높은 것일까요?
메타인지가 높은 사람은 둘째아이입니다.
둘째는 자신이 알고 있는 내용과 모르고 있는 내용에 대해
확실히 ‘알고’ 있었기에 자신의 시험결과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었습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학창시절의 절대적 시험점수의 차이보다
메타인지의 차이가 이후의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입니다.
관련된 다른 칼럼도 확인해보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